본문 바로가기

Cloud/NCP(Naver Cloud Platform)

(실습4)NCP-Linux 2TB이상의 디스크 만들기

1. Linux 2TB 이상 디스크 만들어 사용하기

- 리눅스에서 2TB 이상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LVM(Logical Volume Manager)을 사용

 

 1.1) 2TB이상의 스토리지 2개 생성 후 > 디스크 파티션은 제일 먼저 해줘야함

(스토리지 추가 관련 내용은 VM 스토리지 추가 글 확인)

 

 1.2) disk파티션 설정

 fdisk -l > fdisk /dev/xvdb > n > p > 엔터 > 엔터 > w, xvdc도 fidisk /dev/xvdc 하여 동일하게 디스크 파티션 설정

 
 1-3) LVM 설정을 위해 파티션을 만들면 먼저 파티션 타입을 변경해야함
 fdisk /dev/xvdc > t > L  > 8e(8e Linux LVM) > w, xvdb도 동일하게 설정

 

 1-4) 다음으로 작업을 해야할 것이 LVM을 작업해줘야하나 네이버클라우드 같은 경우 이미 LVM이 설치가 되어있음
 #apt install lvm2 // 없는 경우에는 인스톨해주면됨
 #pvcreate /dev/xvdb1 //논리볼륨을 관리할 것임, 논리볼륨에 LVM을 사용한 피지컬 볼륨(physical volume)

 #pvcreate /dev/xvdc1
 pvdisplay // 생성된 pv확인

 

1-5) VG 생성 (Volume Group)

 >> 두개의 볼륨을 하나의 볼륨으로,  LVM 피지컬볼륨이 하나의 VG 볼륨그룹으로 만들 예정
 #vgcreate vg_storage1 /dev/xvdb1 /dev/xvdc1
 >> 그룹을 만들었으면 실제 사용할 볼륨을 만들어줘야함
 #lvcreate -l 100%FREE -n lv_storage1 vg_storage1
 >> lv_store를 논리적볼륨 실제데이터 파티션 vg storage1는 디스크

 #mkfs.ext4 /dev/vg storage1/lv_storage1 storage1

 >> 파티션을 만들면 포멧팅을 해줘야함

- /dev/vg_storage1/lv_storage1
 >> vg_stroage1 논리적으로 하나의 disk로 만들고 lv_storage1라는 파티션을 만들고 해당 파티션을 사용하기 위해서 파일시스템을 만듬

1-6) Mount

#mkdir /storage

#mount /dev/vg_storage1/lv_storage1 / storage/

#df -h

 

저장공간 또한 비용이 발생되므로 사용하지 않으면 스토리 해지하는 것을 권고 드립니다.